최진우 (소설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진우는 1932년 충청남도 보령에서 태어난 소설가이자 언론학자이다. 1966년 국내 최초로 정규 언론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중앙대학교 강사, 교수 등을 역임하며 신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소설 《박씨삼대》로 1985년 주요섭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1985년 급성 뇌출혈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천고등학교 동문 - 김국환
김국환은 1969년 데뷔한 대한민국의 가수로, 1980년대 만화영화 주제가와 1991년 성인 가요 《타타타》의 성공을 통해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에도 꾸준히 활동하며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선보이고 있다. - 대천고등학교 동문 - 장동혁 (정치인)
장동혁은 행정고시와 사법시험에 합격 후 판사, 변호사로 활동하다 2022년 재보궐선거로 국회의원이 되었고 국민의힘 원내대변인, 사무총장을 역임, 2024년 재선에 성공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언론정보학자 - 롤랑 바르트
프랑스의 문학 비평가이자 기호학자, 사상가인 롤랑 바르트는 `글쓰기의 영도`와 `신화론`으로 이름을 알리고 구조주의와 기호학 연구를 거쳐 포스트구조주의적 시도를 보였으며, '작가의 죽음' 개념을 통해 텍스트 해석의 다의성과 독자의 역할을 강조하며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언론정보학자 - 니클라스 루만
니클라스 루만은 독일의 사회학자로, 자기생산 개념을 도입한 사회 시스템 이론을 정립하여 사회를 의사소통 네트워크로 규정하고 기능적 분화와 복잡성 감소를 통해 사회 시스템의 작동 방식을 설명했으며, 그의 이론은 추상성과 인간 소외 문제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충남대학교 동문 - 오시덕
건축공학자 출신인 오시덕은 대한주택공사 사장을 거쳐 제17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선거법 위반과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논란이 된 정치인이다. - 충남대학교 동문 - 박정현 (1964년 11월)
박정현은 대전 YMCA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서 시민운동가로 활동하다가 대전광역시의회 의원, 대덕구청장을 거쳐 제22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현재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을 맡고 있는 정치인이다.
최진우 (소설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최진우 |
원어이름 | 崔鎭宇 |
그림 | 최진우 박사(1932년 ~ 1985년).jpg |
출생일 | 1932년 8월 2일 |
출생지 | 충청남도 보령시 |
사망일 | 1985년 12월 13일 |
사망지 | 서울특별시 서초구 |
거주지 | 서울특별시 서초구 |
국적 | 대한민국 |
별칭 | 영산(아호) |
학력 | 중앙대학교 국문학과 학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국문학 및 신문학 석사 충남대학교 대학원 문학 박사(수료) |
경력 및 직업 | |
직업 | 대학교수, 언론학자, 소설가 |
활동 기간 | 1958년 ~ 1985년 |
소속 | 중앙대학교 |
가족 | |
배우자 | 서석희 |
자녀 | 최기순, 최태순, 최혜순 |
부모 | 최장규(부), 서정갑(장인) |
문학 활동 | |
등단 | 《자유문학》(1958년) |
수상 | 주요섭문학상 |
2. 생애
1932년 8월 2일 충청남도 보령시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보령시 남포면장을 지낸 최장규였으며, 상법학자 서정갑의 사위이다. 중앙대학교를 졸업한 후, 1966년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신문의 기사변천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으로 한국 최초의 정규 언론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3][4]
1966년 한국에서 처음으로 정규 대학원의 신문학 전공 석사가 배출되었으며, 최진우는 〈한국신문의 기사변천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으로 국내 최초 정규 언론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3][4] 중앙대학교 졸업 후 1963년 같은 대학 강사로 시작하여 1972년 부교수, 1977년 정교수로 임용되었다. 재직 중 신문방송학과 과장, 대학원 신문학과 과장, 중대신문 편집국장 및 주간교수를 역임하였다. 학교 재학 및 재직 중 중앙대학교 설립자인 임영신과 두터운 친분을 유지하였다.
1958년 《자유문학》을 통해 문단 활동을 시작했다.[11] 1960년에는 전후문학회 간사로 활동했다.
최진우는 소설가이자 언론학자로서 문학과 학술 분야 양쪽에서 활동했다. 소설가로서는 여러 단편과 소설집을 발표했으며, 특히 1985년 발표한 장편소설 《박씨삼대》는 그의 대표작으로 제2회 주요섭 문학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7][8][5]
1963년 중앙대학교 강사로 교수 생활을 시작하여 1967년 전임강사, 1972년 정교수로 임용되었다. 중앙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과장, 대학원 신문학과장, 중대신문 편집국장 및 주간교수를 역임하였다. 학교 재학 및 재직 중 중앙대학교 설립자인 임영신과 두터운 친분을 유지하였다.
학술 및 문학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여 한국언론학회 회원, 한국문인협회 회원, 펜클럽 본부 회원, 한국소설가협회 회원, 언론연구소 소장 등을 지냈다. 3편의 소설집을 집필하였으며, 주요 제자로는 서울경제신문 대표를 지낸 임종건 등이 있다.[5][6] 대표작 《박씨삼대》로 1985년 주요섭 문학상을 수상하였다.[7][8]
1985년 12월 13일 급성 뇌출혈로 사망하였다.[9][10] 묘소는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에 있다.
3. 학력
연도 학교 학위/과정 1952년 대천농업고등학교 (현 대천고등학교 전신) 졸업 1956년 중앙대학교 국문학과 졸업 1964년 중앙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 석사 1966년 중앙대학교 대학원 신문학과 석사 1983년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과정 수료
4. 경력
학계 및 문단에서는 한국언론학회 회원, 한국문인협회 회원, 펜클럽 본부 회원, 한국소설가협회 회원, 언론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였으며 3편의 소설집을 집필하였다. 주요 제자로는 서울경제신문 대표를 지낸 임종건 등이 있다.[5][6] 주요 작품으로는 《박씨삼대》가 있으며, 이 작품으로 1985년 주요섭 문학상을 수상하였다.[7][8]5. 언론 및 문단 활동
중앙대학교 졸업 후 학계에서도 활동했는데, 1966년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신문의 기사변천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으로 한국 최초의 정규 언론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3][4] 1963년 중앙대학교 강사로 출강하기 시작하여 1967년 전임강사를 거쳐 1972년 정교수로 임용되었다.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및 대학원 신문학과 과장, 중대신문 편집국장 및 주간교수를 역임하며 언론 교육과 연구에 힘썼다.[5][6]
이후 한국언론학회 회원, 한국문인협회 회원, 펜클럽 본부 회원, 한국소설가협회 회원으로 활동했으며, 언론연구소 소장을 지냈다. 소설가로서 총 3편의 소설집을 남겼으며, 대표작 《박씨삼대》로 1985년 주요섭 문학상을 수상했다.[7][8] 주요 제자로는 서울경제신문 대표를 지낸 임종건 등이 있다.[5][6]
6. 주요 작품 및 저서
언론학 분야에서는 1966년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신문의 기사변천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으로 한국 최초의 정규 언론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는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3][4] 이후 중앙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신문학 및 언론학 관련 다수의 학술 저서를 집필했다.[12][13][14][15]
6. 1. 문학 작품
주요 문학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제목 | 출판사 | 비고 |
---|---|---|---|
1958년 | 자유문학 | 자유문학 | |
1959년 | 인간대결 | 자유문학 | |
1961년 | 비개인 한낮 | 신흥출판사 | 소설집 |
1980년 | 귀로 | 중앙출판인쇄주식회사 | 소설집 |
1985년 | 박씨삼대 | 소설문학사 | 장편소설, 제2회 주요섭 문학상 수상작 |
6. 2. 학술 저서
- 한국신문의 기사변천에 관한 연구 (1966년)
- 최준 교수의 학문과 인간 (차배근 외, 희관 임근수 박사 화갑기념논총, 한국 신문학 50년사, 정음사, 1977년)[14]
- [https://web.archive.org/web/20141205015228/http://www.dgupress.com/news/quickViewArticleView.html?idxno=9245 大學新聞(대학신문)의 本質(본질)과 役割(역할)] (동대신문, 1979년 4월 19일)[13]
- 신문학강의 (편저, 중앙대학교 출판국, 1979년)[12]
- 신문편집제작론 (대광문화사, 1980년)
- 신문보도기사론 (중앙출판인쇄주식회사, 1983년)
- 신문방송학개론 (공저, 대광문화사, 1984년)
- 新聞表題와 news性 (한국신문학보, 제6권, 130~146)[15]
7. 수상
1985년 소설 《박씨삼대》로 주요섭 문학상을 수상하였다.[7][8]
8. 사망
1985년 12월 13일 급성 뇌출혈로 사망하였다.[9][10]
9. 평가
(작성할 내용 없음)
참조
[1]
뉴스
국내 최초 知天命맞은 중앙대 신문방송학과
http://biz.heraldcor[...]
[2]
지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tps://terms.naver.[...]
[3]
기타
곽복산의 신문학 이론. 이상철(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부 명예교수)
https://www.evernote[...]
[4]
웹인용
신문방송 40년의 회고. 이정춘. 2001년
http://cluster1.cafe[...]
2014-11-29
[5]
문서
[6]
뉴스
의와 참으로 지켜온 33년간의 기자정신
http://news.cauon.ne[...]
[7]
뉴스
주요섭 문학상 받은 최진우씨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5-11-15
[8]
뉴스
최진우 중앙대 교수 주요섭문학상 수상자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5-11-06
[9]
기타
주요섭 문학상 응모 관련 최진우 박사 약력.
https://www.evernote[...]
2014-10-30
[10]
뉴스
한국 신문 문장의 변천 중앙대 최진우 교수 논문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3-03-01
[11]
뉴스
신인작품의 수준과 방향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59-05-24
[12]
뉴스
'신문학강의' 최진우편저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79-11-10
[13]
뉴스
大學新聞(대학신문)의 本質(본질)과 役割(역할)
http://www.dgupress.[...]
동대신문
1979-04-19
[14]
기타
최준(崔埈)과 임근수(林根洙)의 언론사 연구
https://www.evernote[...]
[15]
기타
한국 근대신문 기사제목의 형성과 발전
https://www.everno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